달걀귀신

분류 등급
위험도: 치명
Egg Ghost
전국 야산 및 깊은 곳대한민국 • 업데이트: 정보 없음
별명: 무면귀신, 달걀얼굴, 놋페라보
달걀귀신
👻
목격 증거 사진
확인된 사진이
없거나 공개 제한

기본 정보

이름:달걀귀신
영문명:Egg Ghost
출몰 지역:전국 야산 및 깊은 곳
목격 빈도:드물게
최종 목격:2019년 8월
등장 시기:조선시대 중기 (산간 지역)

위험도 평가

치명
극도로 위험 - 접근 금지

개요

이건 한국의 정말 소름끼치는 전통 귀신 이야기야. 달걀귀신은 얼굴이 달걀처럼 둥글고 눈, 코, 입이 아예 없는 한국의 전통 귀신이야. 주로 한국의 야산이나 사람이 잘 가지 않는 깊은 곳에서 나타난다고 해. 가장 무서운 건 한국 전설에 따르면 달걀귀신을 직접 보게 되면 죽는다거나, 아니면 사람의 몸 안으로 들어가서 번식한다는 끔찍한 이야기가 있어. 그 유래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는데, 일부에서는 일본 요괴인 놋페라보와 비슷하다는 말도 있더라고. 하지만 한국 고유의 귀신이라고 보는 게 맞는 것 같아.

📺 관련 영상

특징·행동 패턴

외형 특징

인간과 비슷한 키에 얼굴이 달걀처럼 매끈하고 둥글다. 눈, 코, 입이 전혀 없어서 표정을 알 수 없다. 온몸이 창백하며, 걸을 때 소리가 나지 않는다.

행동 패턴

주로 밤 11시 이후 야산이나 인적이 드문 곳에 나타나며, 사람을 발견하면 조용히 접근한다. 직접적인 공격보다는 정신적 공포를 주거나 몸에 빙의하려 한다.

전설과 소문

요약

얼굴이 없는 무서운 전통 귀신이 산속에서 사람을 죽이거나 몸에 들어가 번식한다는 이야기

상세 전설

한국 전통 귀신담에서 전해내려오는 무시무시한 존재로, 달걀처럼 매끈하고 둥근 얼굴에 눈, 코, 입이 전혀 없는 괴이한 모습을 하고 있다. 주로 야산이나 인적이 드문 깊은 곳에서 나타나며, 이 귀신을 직접 보게 되면 죽는다는 무서운 전설이 있다. 더욱 끔찍한 것은 살아남은 사람의 몸 안으로 들어가서 번식한다는 이야기로, 일본의 놋페라보(のっぺらぼう)와 비슷한 면이 있지만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귀신으로 여겨진다.

역사·기원

기원

한국 전통 민간 귀신담과 산신 신앙에서 비롯된 무면귀신 전설

관련 사건

  • 조선시대 산간 지역 실종 사건들
  • 야산에서의 정체불명 목격담 (지속적)
  • 무면귀신 관련 민담 전승

⚠️ 대처방법

만약 이런 상황을 마주친다면:
1.야산이나 인적이 드문 곳에 혼자 가지 말 것
2.밤에는 절대 산속에 머물지 말 것
3.얼굴이 매끈한 사람 같은 것을 보면 절대 쳐다보지 말고 즉시 도망칠 것
4.부적이나 염주 등 액막이 지니기
5.만약 마주쳤다면 눈을 감고 염불이나 기도하며 그 자리를 벗어날 것
전설에 따르면 매우 위험한 존재이므로 절대 호기심으로 찾아가지 말고 목격 시 즉시 피할 것

미디어·문화 속 등장

서적

한국 전통 귀신담 - 무면귀신 편

방송

전국 미스터리 - 얼굴 없는 귀신

인터넷

산간지역 괴담 모음집

출몰 지역 지도

📍 위치: 전국 야산 및 깊은 곳, 대한민국
좌표: 37.5665, 126.978
⚠️ 주의: 해당 지역 방문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가급적 혼자 가지 마십시오.

다른 귀신

치명
드물게

수살귀

한국 전통에서 물에서 생을 마감한 사람의 영혼이 된 영적 존재야. 수살귀는 한자로 '수사귀(水死鬼)' 또는 '수살귀(水殺鬼)'라고 쓰며, 무가에서는 대체로 수살귀, 설화에서는 물손귀신이라고도 불러. 여성 영혼과 더불어 무당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영적 존재 중 하나로, 모든 원하는 영혼 중에서도 강한 기운을 가진 존재라고 여겨져. 자신의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마음의 아픔이 남아서, 다른 사람들도 같은 위험에 빠뜨리길 원한다고 해. 오래될수록 영적 힘이 강해져서 물가를 지나가는 사람들까지도 호리하여 위험한 곳으로 유인한다는 무서운 존재야.

📍 전국 (강, 하천, 연못, 바다)👁️ 전통 시대부터
낮음
가끔

어둑시니

한국 전통에서 어둠을 상징하는 요정 같은 존재야. 어둑시니는 그슨대와 비슷하게 어둠에서 나타나지만, 직접적으로 해를 끼치기보다는 사람을 놀래키는 것을 좋아하는 장난스러운 성격이야. 관심받는 것을 매우 좋아해서 사람들이 자신을 바라보면 점점 커지고, 무시하면 작아져서 사라져버려. 본질적으로는 인간의 마음이 만들어낸 허상에 불과하다고 여겨지는데, 어둠에 대한 심리적 공포를 상징하는 철학적인 의미가 강한 요괴지. 그슨대가 직접적으로 사람을 해치는 '악령'이라면, 어둑시니는 단순히 사람을 놀래키는 '요정' 같은 존재야.

📍 전국 (어두운 곳, 그림자진 곳)👁️ 전통 시대부터
치명
드물게

창귀

한국 전통에서 호랑이에게 잡아먹힌 사람의 혼령이 그 호랑이의 노예가 된 존재야. 명나라 학자 도목의 '청우기담'에 따르면 '창귀는 호랑이에게 잡아먹힌 사람의 혼백으로 다른 곳에 갈 수 없어 오직 호랑이의 노예만 된다'고 기록되어 있어. 창귀는 호랑이를 위해 길을 안내하고 시중을 들며, 그 호랑이가 다른 사람을 잡아먹어야만 자신이 해방될 수 있기 때문에 온갖 계략을 써서 다른 사람들을 호랑이의 먹이로 만들려고 해. 심지어 가족이라도 예외가 없다는 무서운 존재지. 전통적으로 호랑이에게 죽은 사람이 있는 가문과는 혼인을 맺지 않았을 정도로 두려워했어.

📍 전국 (호랑이 출몰 지역, 산간지역)👁️ 전통 시대 (조선시대까지)
높음
드물게

그슨대

한국 전통에서 어둠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요괴야. 그슨대는 '그늘'과 '그믐달'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어둠 속에 서 있는 거대한 존재'를 뜻해. 처음에는 어두운 곳에서 아이의 모습으로 나타나 사람들을 유인하다가, 갑자기 그림자 형태로 변해 점점 커지면서 사람들을 위협하거나 해치는 악령이지. 조건부 불사의 요괴로, 그림자 형태일 때는 물리적 공격이 통하지 않고 오히려 공격할수록 더 커진다는 무서운 특징이 있어. 어둠이 없으면 힘을 발휘할 수 없어서 횃불이나 여러 사람의 빛으로 물리칠 수 있다고 전해져.

📍 전국 (어두운 곳, 산길, 숲속)👁️ 전통 시대부터
보통
드물게

몽달귀신

한국 전통 민속에서 결혼을 못하고 죽은 총각의 영혼이 된 귀신이야. 몽달귀신은 정상적인 인생의 절차 중 혼인 단계를 거치지 못한 이가 죽었을 때 생기는 원귀로, 다르게 총각귀신·도령귀신·삼태귀신이라고도 불려. 상사병에 걸려 죽은 총각이나 장가도 가지 못하고 죽은 총각의 혼령이 원귀가 되어 인간에게 악행을 저지른다고 믿어져. 특히 산 사람들을 괴롭히거나 상사병에 걸려 죽게 만들 수 있다고 여겨졌어.

📍 전국 (주로 마을, 무덤, 선영 지역)👁️ 전통 시대부터
달걀귀신 귀신 정보 - 특징, 출몰지역 | 글로벌 귀신, 유령, 요괴 정보 | NIGHTMARE WORLD